728x90 반응형 Linux5 리눅스(Linux)의 역사를 알아보자 UNIX의 탄생과 성장 1960년대 후반 1965년 MIT, AT&T 벨 연구소, General Electric에서는 Multics라는 실험적인 운영체제를 공동으로 개발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하였습니다. 이 프로젝트는 멀티태스킹, 멀티유저를 지원하는 초기 형태의 시분할 운영체제를 만들고자 했던 것이었습니다. 그러나, Multics는 초기의 설계 목표와는 다르게 비대해지고 쓸모없는 운영체제로 개발되어갔고, 프로젝트는 좌초되기에 이르렀죠. 그러나, 이 프로젝트에 참여했던, 켄 톰슨과 몇몇 연구원들은 프로그래밍에 관한 연구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에 적합한 환경을 만들어 보자는 의도에서 계속하여 운영체계 개발에 몰두 하였고, 그래서 탄생한 것이 초기 형태의 UNIX였습니다. 당시에는 하드웨어를 운영하는 프로그램을 그.. 2020. 11. 17. 리눅스(Linux)와 윈도우(Windows) 비교해 보자 리눅스 신뢰도 : 리눅스 시스템의 신뢰도는 잘 알려져 있습니다. 서버들이 수년간 중단없이 운행되곤 하지만, 기본적으로 디스크 입출력이 비동기화 방식이기 때문에, 트랜젝션 기반 응용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신뢰도가 낮으며, 비동기화 방식은 시스템 크래쉬나 전원문제가 발생할경우 파일시스템이 깨어질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일반적인 사용자에게 있어 리눅스는 매우 믿음직한 운영체제입니다. 성능 : 대부분의 응용프로그램에 대해 리눅스는 좋은 성능을 보여주지만, 과중한 네트워크 부하를 처리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최적화된 성능을 발휘하지 못합니다. 시스템 성능이 극단적으로 중요한 경우가 아니거나 매우 중요한 트랜젝션을 수행하여야 할 경우만 아니라면, 서버 운영체제로서 리눅스는 훌륭합니다. 상용 어플리케이션 : 많은 새로운.. 2020. 11. 16. 커널(kernel)과 쉘(shell)이란 무엇인가 안녕하세요. 리눅스 커널과 쉘이라는 용어에 대한 설명내용을 기술한 글입니다. 아래의 내용은 당장 이해를 해야 할 것들은 아닙니다. 보고 이렇게 이루어져 있구나 하구 보고 넘어가면 될겁니다.. 리눅스를 사용하다 보면 커널이나 쉘이라는 용어를 자주 사용하게 됩니다. 특히 커널 컴파일이란 것이 있어서 리눅스를 더 어렵게 느껴지게 만들기도 합니다. 쉘이란 것도 종류가 많고 쉘 프로그래밍이란 것도 있어서 리눅스를 사용하려면 기본적으로 쉘 프로그래밍을 해야되는 건가 싶기도 합니다. 이런 점들이 초보자에게는 부담스럽게 느껴집니다. 이런 리눅스의 커널과 쉘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도스를 알고 있다면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 ▶커널은 도스의 IO.SYS나 MSDOS.SYS와 같은 기능을 하구요. ▶쉘은 도스의 COM.. 2020. 11. 10. nbstat 명령어 nbstat : /usr/bin/gcc # gcc -v # mkdir /gcc_test # cd /gcc_test/ # vi linux.c #include int main ( void ) { printf ( "Welcome to cafe.naver.com/linuxlog \n" ); return 0; } # ls -al ================================================= (01) ./configure Makefile 자동으로 만들어진다. (02) make (03) make install ================================================= make 유틸 작업 순서 (01) make 명령어를 실행하면 (02) 현재 디렉토리에 있는 M.. 2020. 11. 6. Red Hat 자격증 정보 RHCT (Red Hat Certified Technician) Red Hat Linux를 워크스테이션에 설치, 설정, 수정하는데 필요한 기초적인 능력을 인증받은 인력입니다. ====================================================== RHCE (Red Hat Certified Engineer) Red Hat Linux를 기반으로 설치, 구성, 디버깅, 네트워크 서비스 설정 등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기술과 경험을 인증받은 기술자입니다. ====================================================== RHCA (Red Hat Certified Architect) 서버 운영과 백엔드 데이터베이스 및 데이터센터 내 스토리지, 기업내 데스크탑.. 2020. 11. 6.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