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정보

리눅스(Linux)와 윈도우(Windows) 비교해 보자

하루살이미덕 2020. 11. 16. 12:51
728x90
반응형

리눅스

  • 신뢰도 : 리눅스 시스템의 신뢰도는 잘 알려져 있습니다.

    서버들이 수년간 중단없이 운행되곤 하지만, 기본적으로 디스크 입출력이 비동기화 방식이기 때문에, 트랜젝션 기반 응용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신뢰도가 낮으며, 비동기화 방식은 시스템 크래쉬나 전원문제가 발생할경우 파일시스템이 깨어질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일반적인 사용자에게 있어 리눅스는 매우 믿음직한 운영체제입니다.
  • 성능 : 대부분의 응용프로그램에 대해 리눅스는 좋은 성능을 보여주지만, 과중한 네트워크 부하를 처리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최적화된 성능을 발휘하지 못합니다.

    시스템 성능이 극단적으로 중요한 경우가 아니거나 매우 중요한 트랜젝션을 수행하여야 할 경우만 아니라면, 서버 운영체제로서 리눅스는 훌륭합니다.
  • 상용 어플리케이션 : 많은 새로운 상용 어플리케이션들이 리눅스를 지원하고, 상당수의 어플리케이션들이 리눅스 용으로 현재 개발중입니다.

    불행히도 리눅스는 그에 맞추어 컴파일된 실행파일만이 지원되므로, FreeBSD나 SCO 유닉스용 프로그램을 운용할 수 없습니다.
  • 무료 어플리케이션 : 방대한 양의 무료 프로그램들이 리눅스에서 사용 가능하며, 직접 소스 수정 및 제작을 해 배포할수도 있습니다.(그대로 윈도우에 비해 어플리케이션이 적다고 할수 있습니다.
  • 기술지원 : 많은 기관들이 리눅스를 전문적으로 지원합니다. 모든 주요 리눅스 업체들은 다양한 방법으로 고객을 지원 하며, 몇몇 업체는 중단없이 365일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뉴스그룹과 메일링 리스트와 같은 무상 질의/답변 포럼또한 많이 있습니다. 최후의 수단으로 소스를 수정하여 직접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 구축비용 : 몇몇 업체들은 상용 배포판을 매우 저렴한 가격에 제공합니다. 어플리케이션과 문서들 또한 무상 혹은 저렴하게 구할 수 있습니다. 리눅스는 사용 제한이 없기 때문에, 구축하고자 하는 모든 시스템에 추가 비용없이 설치할 수 있습니다. 리눅스 시스템을 위한 총 구축비용은 매우 저렴합니다.

윈도우

  • 신뢰도 : 모든 윈도우 사용자는 "공포의 파란 화면"에 익숙하며, 낮은 신뢰성은 윈도우의 커다란 단점중 하나입니다. 몇몇 문제들은 윈도우 2000에서 해결이 되고 있지만요..
  • 성능 : 윈도우는 일상적인 프로그램에 대해선 별문제 없지만, 대량의 네트워크 부하를 감당해내진 못합니다.

    소수의 기관들이 그들의 인터넷 서버에 윈도우NT를 채택하지만, 윈도우는 네트워크 솔루션으로 적합하지 않고다 많이들 생각합니다.
  • 상용 어플리케이션 : 윈도우는 다른 어떤 운영체제 보다 많은, 수천의 어플리케이션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윈도우의 최대 장점이지만,대다수는 윈도우에서만 사용가능하다는 단점을 안고 있습니다.
  • 무료 어플리케이션 : 윈도우용 무료 소프트웨어는 타 운영체제의 그것에 비해 매우 적습니다. 많은 윈도우 어플리케이션은 소스코드 없이 "쉐어웨어"로 제공되기 때문에, 프로그램은 사용자에의해 수정 혹은 개선될 수 없습니다.
  • 기술지원 : 윈도우에 대한 고객 지원이 제공되지만, 문제가 해결되리란 보장도 없이 몇시간을 기다릴것을 각오해야 합니다. 윈도우 NT의 코드 비공개 방침으로 인해, 비공식적인 무상 지원이 있을 수 없으며, 버그는 마이크로 소프트의 스케줄에따라 해결될 것 입니다. 윈도우 NT가 자주 수정되지 않을경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몇년을 기다려야 할지도 모릅니다.
  • 구축비용 : 서버용 윈도우는 고가의 가격이며, 기본 어플리케이션도 추가비용이 듭니다. 리눅스나 FreeBSD에서 무상으로 제공되는 소프트웨어를 위해 사용자들은 구입을 해야 합니다.

    문서는 비싸며, 극 소수의 온라인 문서만이 제공됩니다. 또한 모든 컴퓨터마다 라이센스가 요구되기 때문에, 지연과 관리 부하가 초래됩니다.

리눅스는 윈도우98처럼 컴퓨터를 사용하는데 필요한 운영체제이고 똑같은 컴퓨터에서 동작할 수 있습니다. 리눅스를 쉽게 이해하기 위해서 윈도우98과 비교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윈도우98 = 개인용 운영체제
윈도우 NT = 다중 사용자용, 서버용 운영체제 = 리눅스
윈도우98 < 윈도우 NT 윈도우98 ≤ 리눅스
윈도우 NT = 리눅스


리눅스가 윈도우98이나 NT 보다 강하다고 하는 이유는 보통 시스템 다운이라 불리우는 현상이 적기 때문입니다. 또한 새로운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나서 재부팅하지 않고도 계속 사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그외에도 시스템 사양이 높지 않기 때문에 윈도우98이나 NT를 설치할 수 없는 컴퓨터일지라도 리눅스를 설치할 수 있다는 점도 강점입니다.

MS윈도와 X윈도우

윈도우(Windows)는 컴퓨터를 좀더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Graphic User Interface)입니다. 컴퓨터를 처음 시작하는 초보자에게 텍스트 환경은 어렵게 느껴질 수 밖에 없고 그래픽 인터페이스가 쉽게 느껴집니다. 그래서 MS윈도와 X윈도우 그래픽 환경의 비교는 초보자를 기준으로 이야기한다고 해도 보통 MS윈도를 많이 사용했기 때문에 MS윈도가 더 쉽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원래 유닉스는 MS윈도 같은 그래픽 인터페이스가 없었기 때문에 유닉스를 잘 사용하는 사람들은 커맨드 방식(MS-DOS 모드에서 사용하는 텍스트 방식)에 익숙해져 있습니다.

그 이유는 리눅스나 유닉스 사용자들은 다양한 환경설정 파일을 한텀(Hanterm)이라는 도스 환경에서 변경해야 했기 때문입니다. 그렇지만 최근의 KDE나 GNOME이라 불리우는 X-Windows 환경이 보급되면서 편리하게 리눅스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특히 KDE의 경우 MS사의 윈도와 비슷해서 윈도95/98을 사용하던 사용자들도 쉽게 리눅스 환경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여기까지 리눅스와 윈도우 비교한 내용들입니다.

참고하시면 될듯합니다.

728x90
반응형
해커스소방 15일 무료 수강권 100% 전원 제공